SI와 SM meswiser, 2025-01-07 SI와 SM의 차이점? IT 회사를 다니거나 취직하고 싶은 사람들은 SI 와 SM이라는 단어를 숱하게 많이 들어봤을 거에요. 그럼 SI는 뭐고, SM은 어떤 것일까요? 두 가지 IT 사업 분야의 특징을 정리해보았습니다. SI가 뭔가요? SI(System Integration)는 고객이 요청하는 ‘시스템’을 기획하는 단계부터 프로그래밍을 통한 개발과 구축 전반적인 과정을 담당합니다. 기업이 요구하는 사항을 반영, 커스텀 개발하고 시스템 구축까지 진행합니다. SI 업무의 경우, 고객사의 다양한 환경에 맞게 프로그래밍 언어와 개발환경 등을 접하게 되어 폭넓은 경험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반면, 업무가 프로젝트 단위로 진행되기 때문에 정해진 위치에서 작업을 하기보다, 출장을 가거나 고객사에 상주하며 작업하는 파견 근무를 하게 되는 경우가 잦을 수 있다는 약간의 애로사항도 있다는 점! SI업체에서 맡게 될 업무 요구사항 분석 – 고객의 요구 사항 수집합니다 분석/설계 – 요구 사항을 분석하고, 실제 개발이 가능한 형태로 설계합니다. 개발 – 분석/설계를 통해서 나온 자료를 기반으로 실제 프로그램 개발, 구축합니다. 테스트 – 구축된 프로그램 테스트하고 사용에 이상이 없도록 안정화하는 작업을 거칩니다. 검수 – 고객으로부터 최종 결과물을 확인받고, 이상 없이 구축되었음을 인증받습니다. SM은 뭔가요? SM(System Maintenance)은 현재 운영 중인 시스템의 기능을 새로운 환경 변화에 적응되도록 변경 시키거나, 시스템 점검, 고장등을 수리하여 정상적으로 가동하도록 관리, 기술지원 업무를 담당합니다. 시스템을 사용하는 사람들이 시스템을 편리하고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시스템상의 오류를 수정하거나 구축된 프로그램의 기능을 변경이나 추가하여 지원하기도 합니다. SM을 담당하고 있는 근무자는 금융, 방송, 공공기관 등 각 고객사 시스템에 특화된 IT 지식을 얻을 수 있답니다. 다만, 한 시스템을 오랜 기간 담당하는 경우가 많다 보니, 여러 분야의 다양한 지식과 경험을 하기엔 한계가 있을 수 있어요! SM업체에서 맡게 될 업무 오류 수정 – 시스템 오류나 작업 중 발생한 오류를 수정합니다. 기능 개선 – 기존 시스템에 부가 기능을 더하거나 불편 요소를 개선합니다 기능 추가 – 새로운 기능을 추가 개발하기도 합니다. 데이터 제공 – 사용자들이 요구하는 데이터를 DB에서 조회하여 제공합니다. 시스템 안정화 – 시스템이 다운되거나, 부하가 걸리지 않도록 안정화를 진행합니다. 이 두 직무는 환경적 요소에 따라 업무 강도나 여러 여건이 천차만별입니다. 따라서, 단순히 어느 한쪽이 더 낫다라고 얘기하는 것은 매우 힘들어 보입니다. 보통 개발 경험 측면에서는 SI가 낫고 워라밸 측면에서는 SM이 낫다고 얘기하지만, 이것도 주어진 여건과 상황에 따라서 달라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자신에게 더 적합하다고 여겨지는 쪽에 집중하여 커리어를 쌓고 미래 계획을 세우는 것이 장기적으로 볼 때 더 효과적입니다. MESwiser MESwiser 스토리